청 안 하면 못 받는 100만원 지원금 총정리

2024~2025년 현재, 신청하지 않으면 절대 지급되지 않는 숨은 지원금이 여럿 있습니다. 자동 지급되는 게 아니라, 본인이 반드시 신청해야 받을 수 있는 제도들이므로 아래 내용을 꼼꼼히 확인해보세요. 

✅ 주요 지원금 리스트


1. 국민취업지원제도

 최대 금액: 월 50만 원 × 6개월 = 최대 300만 원 

 대상: 구직자, 저소득층, 경력단절 여성 등 

 신청처: 고용복지플러스센터 


2. 청년내일저축계좌

 최대 금액: 3년 후 총 1,440만 원 

 대상: 만 19~34세 근로 중인 저소득 청년 

신청처: 복지로


3. 청년월세지원 (청년월세 특별지원) 

 최대 금액: 월 20만 원 × 12개월 = 총 240만 원 

 대상: 무주택 청년, 중위소득 60% 이하 

 신청처: 복지로 


4. 근로장려금 (정기/반기) 

 최대 금액: 연간 최대 330만 원 

 대상: 일정 소득 이하의 근로자, 사업자, 일용직 

 신청처: 홈택스 


5. 긴급복지 생계지원금 


 최대 금액: 1인 기준 약 100만 원 

 대상: 실직, 질병, 이혼 등 위기상황 가구 

 신청처: 복지로 또는 주소지 행정복지센터 


6. 소상공인 전기요금 지원 (탄소중립지원금)


최대 금액: 100만 원

대상: 전기요금 인상 업종 소상공인 

신청처: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 


7. 경기도 청년기본소득


 최대 금액: 분기 25만 원 × 연 4회 = 연 100만 원 

 대상: 경기도 거주 3년 이상 만 24세 청년 

 신청처: 경기청년포털 


8.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험료 지원


최대 금액: 100만 원 이내 

대상: 무주택 세입자 중 일정 요건 충족자 

신청처: HUG 주택도시보증공사 

9. 자녀장려금


 최대 금액: 80~100만 원

 대상: 자녀를 둔 일정 소득 이하 가정 

 신청처: 홈택스 


10. 긴급복지 의료지원금 


 최대 금액: 최대 300만 원 

 대상: 위기상황으로 인해 의료비 부담이 큰 가구 

 신청처: 복지로 또는 주소지 행정복지센터 


꼭 기억할 점


이 모든 지원금은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습니다. 일부는 정기 접수(예: 청년내일저축계좌, 월세지원) 기간이 정해져 있으니 공고 일정 확인이 중요합니다. 애매하게 조건에 걸쳐 있어도, 먼저 신청 후 상담을 받는 게 유리합니다.

다음 이전